전체 글(6)
-
1. DeepStream의 프로세스: 실시간 AI 영상 분석의 핵심
저번 글에서는 왜 DeepStream을 선택해야 하는지에 대해 작성했습니다.2025.01.03 - [DeepStream] - 0. DeepStream: 왜 선택해야 할까? 다른 프레임워크와의 비교 0. DeepStream: 왜 선택해야 할까? 다른 프레임워크와의 비교AI와 딥러닝 기술의 발전으로, 실시간 비디오 분석은 다양한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NVIDIA의 DeepStream은 이러한 비디오 분석 워크플로우를 지원하는 강력한 툴로 자리 잡았습니다gapple95.tistory.com이번 글에서는 DeepStream의 주요 프로세스와 이를 활용한 애플리케이션 개발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0. DeepStream의 특장점DeepStream은 NVIDIA의 실시간 비디오 스트리밍 분석 프레임..
2025.01.03 -
0. DeepStream: 왜 선택해야 할까?
AI와 딥러닝 기술의 발전으로, 실시간 비디오 분석은 다양한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NVIDIA의 DeepStream은 이러한 비디오 분석 워크플로우를 지원하는 강력한 툴로 자리 잡았습니다. 그렇다면, DeepStream은 왜 주목받고 있으며, 다른 프레임워크와 어떤 차별점이 있을까요? 이 글에서는 DeepStream의 주요 장점과 다른 프레임워크와의 비교를 통해 그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DeepStream이란? DeepStream은 NVIDIA가 제공하는 AI 기반 비디오 분석 프레임워크입니다. GPU의 강력한 병렬 처리 능력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대규모 데이터를 처리하고, 딥러닝 모델을 실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는 주로 다음과 같은 응용 분야에서 사용됩니다:스마트 시티: 교..
2025.01.03 -
깃허브와 디스코드 연동 및 테스트
전 포스트에서 웹훅까지 만들었다! 2024.03.26 - [디스코드 알림봇] - 깃허브와 디스코드 연동 준비 깃허브와 디스코드 연동 준비 Discord WebHook이란? 자동 메시지들과 업데이트된 데이터를 서버에 있는 텍스트 채널로 아주 쉽게 받을 수 있는 기능이다. REST API와 마찬가지로 웹훅용 URL을 만들어 다른 여러 서비스들과 엮는 기능 gapple95.tistory.com 이번 포스트에서는 이어서 웹훅을 깃허브와 연동하여 메시지가 정상적으로 보내지는지 확인해보겠다! 깃허브에 웹훅 연동하기 "서버설정 > 연동"에서 "웹후크 URL 복사"를 클릭하여 URL을 복사한다. Github의 알림을 보낼 레포지트리에 접속한다. 나는 크롬 확장프로그램 중 Beakjoon Hub를 사용중에 있어서, 백준..
2024.03.26 -
깃허브와 디스코드 연동 준비
Discord WebHook이란? 자동 메시지들과 업데이트된 데이터를 서버에 있는 텍스트 채널로 아주 쉽게 받을 수 있는 기능이다. REST API와 마찬가지로 웹훅용 URL을 만들어 다른 여러 서비스들과 엮는 기능을 하며 "역방향 API"라고도 한다. 일반적인 API는 클라이언트가 서버를 호출을 하지만, 웹훅은 클라이언트에서 제공하는 URL을 서버 측에 등록하면 서버에서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을 떄 클라이언트를 호출하는 방식이다. * 디스코드 공식 홈페이지 (웹훅을 소개합니다) : https://support.discord.com/hc/ko/articles/228383668-%EC%9B%B9%ED%9B%85%EC%9D%84-%EC%86%8C%EA%B0%9C%ED%95%A9%EB%8B%88%EB%8B%A4..
2024.03.26 -
깃허브 REST API 준비
REST API란?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애플리케이션이나 디바이스가 서로 간에 연결 통신할 수 있는 방법을 정의하는 규칙 세트이다. REST API는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아키텍터 스타일의 디자인 원칙을 준수하는 API이다. HTTP 방식으로 통신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method`를 사용한다. GET: Used for retrieving resources. POST: Used for creating resources. PATCH: Used for updating properties of resources. PUT: Used for replacing resources or collections of res..
2024.03.26 -
깃허브용 디스코드 알림 봇 만들기 프로젝트
먼저, 왜 만드는가? 코딩스터디의 벌금리스트(?)를 직접 하나하나 작성을 하는 것이 매우 귀찮음을 느끼던 중, 같은 스터디원인 조O훈, 대O혁, 김O지의 추천을 받아 한번 깃허브를 읽어 벌금정산 리스트를 갱신하는 자동화 툴을 만들어 보고자 한다. 오로지 스터디원들의 원활한 코딩생활(?)을 위하여 이 프로젝트를 진행한다는 것을 밝히며, 평소 글을 잘 못 쓰는 관계로 두서없이 프로젝트 진행 일기를 블로그에 남긴다(솔직히 얼마나 갈지는 잘 모르겠..). 준비물은? 먼저, 가장 중요한 Github REST API를 공부하며 필요한 정보를 읽어와야 한다. https://docs.github.com/ko/rest/quickstart GitHub REST API에 대한 빠른 시작 - GitHub Docs This a..
2024.03.25